오늘은 아즈텍WB 주식의 적정주가와 주가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최근 분석한 기업에 대한 분석글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볼 수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글 성호전자 주가 분석 |
▲▲▲아즈텍WB는 1969년 10월 27일에 왕벌물산으로 설립하여 2000년 10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했다. 제품은 크게 신사/숙녀복지로 구성된 패션마켓 소재 부문, 유니폼 소재 부문, 의류사업부인 패션 프로모션 부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동물복지 인증된 울 원료를 선별하여 스마트 팩토리의 친환경 공정을 통해 생산된 모직물은 전통적인 럭셔리 패션 마켓뿐 아니라 온라인 브랜드들의 수요에도 원활히 대응하고 있다. 그렇다면 아즈텍WB 주식의 적정주가는 얼마인지, 앞으로 주가 전망은 어떨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아즈텍WB 재무제표 분석
1. 매출액, 자산 상황
▲▲▲매출실적을 보면 매년 감소하고 있다. 영업이익을 보면 2019년에는 증가했지만 작년에는 감소하여 적자를 기록했다. 당기순이익도 2019년에는 증가했지만 작년에는 감소했으나 영업이익과는 다르게 흑자를 유지했다.
▲▲▲자산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작년 자산이 증가한 이유는 부채와 자본 모두 증가했기 때문이다. 부채는 약 40억 원이 증가했고, 자본은 약 36억 원이 증가했다.
▲▲▲포괄손익계산서에 따르면 작년 3분기부터 실적이 잘 나오기 시작하더니 4분기에는 110억 원이 넘었다. 그러면서 매출원가도 같이 증가했다. 그러나 판매비와 관리비도 4분기에 같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은 적자를 기록했다. 올해 1분기 실적은 다시 크게 감소하여 매출원가도 같이 감소했다. 그리고 영업이익은 여전히 적자를 기록했다.
2. 영업활동 현금흐름
다음은 아즈텍WB의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보도록 하자.
▲▲▲현금흐름표에 따르면 현금유출이 없는 비용이 4분기에 많이 잡혔던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금유입이 없는 수익이 무려 142.2억 원이나 잡혔었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에서 1, 4분기에 현금을 확보했지만, 2, 3분기에는 현금이 깎여나갔다. 그러면서 2020년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30억 원으로 당기순이익인 36억 원보다 6억 원이 감소했다.
3. FCF 및 각종 비율
▲▲▲CAPEX는 2019년과 같은 금액인 9억 원을 기록했다. 그런데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증가하면서 FCF 역시 증가한 모습이다. ROE는 3.76%로 소폭 감소했고, 부채비율은 27.27%로 소폭 증가했다. BPS는 4,698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고, 배당은 작년이 주당 50원으로 2.73%에 해당하는 금액을 배당했다.
아즈텍WB 주가 분석
1. 아즈텍WB의 적정주가는?
▲▲▲그렇다면 아즈텍WB의 적정주가는 얼마인지 계산해보자. 2020년 당기순이익이 36억 원이고 멀티플을 동일업종 멀티플인 18을 부여하면 적정 시가총액은 648억 원이 되겠다. 즉, 적정주가는 3,015원이 되겠다. 현재 주가가 4,535원이니 적정주가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2. 아즈텍WB 주식 차트
이번에는 주식차트 분석을 통해 주가 흐름을 파악해보자.
▲▲▲아즈텍WB의 차트를 보면 올해 들어서서 주가가 상승세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거래량이 급증하면서 주가가 급등한 모습이다. 오늘도 주가가 급등했지만 다시 하락하여 현재 주가에 안착한 것을 볼 수 있다. 아즈텍WB의 주가가 급등한 이유는 아즈텍WB가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큐라티스가 코로나19 백신 후보물질인 QTP104의 임상 1상 실험 승인을 받았기 때문이다. 즉, 기업의 가치가 반영된 주가가 아니라는 것이다. 현재 주가는 기업 가치 대비 고평가이기 때문이 그리고 오늘 상황을 봐서 주가가 조정받을 가능성이 매우 클 것으로 보인다.
※ 투자는 본인 책임입니다. 투자는 항상 본인의 판단으로 하시길 바랍니다.